Jsp 프로그래밍
Jsp 프로그래밍에서 꼭 알아야 하는 부분(용어)
HelloServlet에 들어 있는 파일, 코드의 역할.포워드, 리다이렉트, 쿠키 세션, 커넥션풀 (중요)
MVC 패턴 - 웹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하기 위해 쓰인 파일 역할
- 구조 : 유지보수를 쉽게 하기 위해서
※ 게시판을 만들면서 : 비즈니스로직 (M), 뷰(V), 컨트롤러(C) 파일의 역할분리, 웹 어플리케이션의 디버깅.
그 외의 예제 한번 쳐보고 넘기고 잊어버릴 것들
- 죽은 기법. (요즘 쓰면 안되는 것들 = 유지보수에 도움이 되지 않음)
- 스크립틀릿,jstl
Jsp와 DB의 연동환경 구축
jsp파일을 만든 후 DBeaver와 연동을 하기 위한 작업이 필요하다.
우선 LoginServlet의 pom.xml파일에 들어간 후 mariadb,commons-lang3의 코드를 추가하기 위하여 아래의 사이트에 들어가서 mariadb,commons-lang3 를 각각 검색한 후 버전에 맞는 코드를 받아 올수 있다.
※ 사용할 버전을 잘 체크한 후 받아와야함
받아온 코드를 LoginServlet의 pom.xml파일안에 복사붙여넣기
*가지고온 코드를 확인하는 방법(라이브러리 찾기)
C:\Users\.m2\repository\ --->원하는 라이브러리를 찾아 볼 수 있다.
GET 방식과 POST 방식의 차이
쉽게 말하자면 GET 방식은 URL에 데이터를 담아 보내는 방식이고
POST방식은 body에 데이터를 담아 보내는 방식이다.
*url을 보면 구분이 가능
다음은 memReg.html파일을 생성후 아래의 코드를 입력
Forward 와 Redirect
forward는 웹 브라우저에 최초 호출한 URL만 표시되고 URL의 정보는 볼 수 없다.
redirect는 웹 브라우저가 URL을 지시된 주소로 바꾸고 그 주소로 이동한다.
쉽게말하여
만약 손님(client)가 은행원A에게 처리를 요구하였는데 은행원A가 B에게 물어보고 처리를 요구하는 방식이 forward이고
redirect는 client가 요구한 처리를 B에게 넘겨 B가 직접 처리하게 만드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