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boot

spring boot (프로젝트 생성 및 git repository 생성)

z00h 2021. 9. 27. 19:22

계획

 

  1.  spring boot 새 프로젝트 생성
  2. git repository 생성
  3. 간단한 controller 구현
  4. commit & push
  5. postman 설치
  6. controller url 호출

 

1. spring boot 새 프로젝트 생성

 

springboot 새 프로젝트를 생성한다.

(name 대소문자 주의)

JAVA를 8로맞춤

 

 

 

다음 단계에서 MyBatis Framework, MariaDB Driver 라이브러리를 추가한다.

 

 

 

 

 

프로젝트를 만들면

라이브러리를 바로 쓸수 있도록 다운로드중..

 

 

 

 

 

 

다운로드를 마친후 프로젝트의 초기화면 (help.md)

markdown형식으로 표현된 왼쪽의 문서를 오른쪽에 표시해준다

 

 

 

 

 

 

프로젝트에 대한 소개글이 들어가는 파일이다. (프로젝트 이름, 간단 소개, 시스템의 역할,...)

how to install 안내 (내 로컬 pc에서 어떻게 돌리는지?)

 

 

 

 

 

 

gitnore파일)

 

git으로 형상관리 할 때 무시할 파일

무시한다라는 것은 즉 commit, push, pull 등에 영향을 받지 않는 파일을 말한다. 디렉토리(하위의 모든 파일)

왜 무시시키냐? local PC 환경에 영향을 주는 파일이기 때문.

(STS)eclipse IDE의 환경설정, IntelliJ, NetBeans의 환경설정.

 

 

 

 

 

2.  git repository 생성

 

Springboot 프로젝트를 git 저장소로 옮기기 위하여 intelliJ의 터미널 창에 git init을 입력.

 

 

 

 

 

Source Tree를 실행-> Add a repository -> 저장소 탐색.

 

 

 

 

저장소를 지정 후 추가

 

 

 

 

WORKSPACE의 파일상태에서 스테이지에 올라가지 않은 파일들을

모두 스테이지에 올린 후 commit.

 

 

 

 

 

git 사이트에 들어가서 새로운 저장소를 만든다.

(이때 저장소의 이름을 springboot 프로젝트명과 같게 해줌)

 

 

저장소를 만든 후 intelliJ 터미널창으로 돌아와 아래의 명령어 입력.

 

 

 

 

성공적으로 github에 push한 파일들을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