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ken 방식으로 로그인을 해 보았다. 우선 설정해야 할것이 몇가지가 있다.
1. 우선 캐시 무효화를 실행한다.
2. 다음의 파일들을 postman에 임포트.
SpringbootApi.postman_collection.json
SpringbootApi[local].postman_environment.json
SpringbootApi.postman_collection.json를 임포트 하면 컬렉션의 request가 추가가 되고,
SpringbootApi[local].postman_environment.json를 임포트 하면 Springboot Api 로컬 환경이 추가가 된다.
3. member 테이블 만들고 환경설정
회원테이블인 member테이블을 생성하고 Id에 Auto Increment에 체크 표시를 한 후 저장.
참고로 저장을 하지 않고 실행하여 계속 오류가 났음
/api/member에 임의의 email,password를 body에 입력하고 보내니 성공!
member 테이블에 정상적으로 email,password가 들어가 있었다.
/autnticate에서 토큰 값도 확인을 할 수가 있다.
참고로 이 과정에서도 사진처럼 아까 오류가 계속 발생 하였는데 원인을 알아보니
같은 e-mail값이 여러개가 member테이블에 있어서 났던 오류 였다. 같은 값들을 지우고 실행하니
위 처럼 정상적으로 실행이 되었다.
'Spring boot' 카테고리의 다른 글
Why Rest API? (왜 rest api를 사용할까) (0) | 2021.10.13 |
---|---|
Spring boot (회원가입, 로그인 예제 불러와 실행) (0) | 2021.10.13 |
Spring boot (글 전체 보기 수정) (0) | 2021.10.12 |
Spring boot ( 글 삭제 기능 비즈니스 로직 추가) (0) | 2021.10.12 |
Spring boot (글 수정 기능 비즈니스 로직 추가) (0) | 2021.10.12 |